티스토리 뷰

반응형

삼성SDI-로고1월-21일-삼성SDI-주가
삼성SDI-로고-주가

27일 LG에너지솔루션의 상장을 앞두고 삼성SDI에 주목하는 전문가들이 많습니다. 21일 삼성SDI의 주가는 전일 대비 0.58% 하락한 684,000원으로 마감되었지만 저평가되어 있어 LG에너지솔루션을 살 수 없다면 삼성SDI를 매수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의견도 있습니다.

 

 

 

삼성SDI 실적 분석 및 전망

삼성SDI-4가지-사업분야
삼성SDI-사업분야

 

삼성SDI는 소형 배터리, 자동차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ESS), 전자재료를 개발하고 생산하는 업체로 1월 21일 기준 시가총액은 47조 349억 원입니다. 2021년 3분기에는 사상 최대 분기 매출(3조 4,398억 원) 및 영업이익(3,735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1.4%, 영업이익은 39.7% 증가하였습니다.

 

중대형 전지는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흑자를 유지하였고, 자동차 전지 역시 수요 감소 영향을 받았지만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판매가 늘어 수익성을 유지하였습니다. ESS는 매출이 감소하였지만(주요 프로젝트의 공급 일정 영향), 소형 전지의 경우 매출이 성장하고 수익성도 향상되었습니다. 전자재료는 고부가 제품의 매출 증가로 수익성이 향상되었습니다.

아직 4분기 실적은 발표되지 않았지만 삼성SDI 홈페이지 확인 결과 자동차 전지는 Gen.5(젠 5) 배터리 공급 확대로 판매가 늘고, 소형 전지는 원형 전지 중심으로 판매가 늘 것이라고 나와있습니다. 또 대형 전지는 신기종, 고부가 제품 중심으로 판매가 증가할 것이고, ESS는 수익성이 개선되며 전자재료 부문에서는 반도체와 OLED 소재 판매 확대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하였습니다.


그에 반해 증권사에서는 4분기 실적에 대해 매출액 4조 원, 영업이익 3,900억 원으로 당사 추정치와 시장 기대치를 소폭 하회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먼저 반도체 공급난이 지속되면서 완성차 중 전기차 생산량이 줄었고, 이차전지 수요도 같이 감소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삼성SDI 중대형 전지 매출액도 기대를 밑돌았다는 것이 이유입니다. 그렇지만 하반기에 갈수록 반도체 공급난이 해소되면서 전기차 생산량도 회복할 것으로 보여 실적도 증가세로 전환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기대하고 있습니다.

 

 

 

삼성SDI 주가 분석 및 전망

삼성SDI-주가정보
삼성SDI-주가정보

삼성 SDI의 주가는 1월 21일 기준 68,400원입니다. 시가총액은 47조 349억 원으로, 시가총액 순위는 코스피 7위입니다.
총 상장주식수는 68,764,530주로 PER, EPS는 각각 42.90배, 15,944원입니다. 동일 업종 PER이 55.91배인 것을 고려하면 삼성 SDI의 현재 주가가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연중 최고가는 828,000원(21년 8월 13일), 최저가는 600,000원(21년 5월 13일)을 기록하였습니다.

 

증권사에서는 삼성SDI의 투자의견을 '매수'로 제시하였습니다. 먼저 곧 상장할 LG에너지솔루션과 비교했을 때 저평가되어 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키움증권 리포트(김지산 연구원)를 보면 LG에너지솔루션의 시가총액을 100조로 잡았을 때 삼성SDI의 시가총액은 48%, PER(주가 수익비율)은 21%에 불과하며, 배터리 사업만 비교하였을 때 삼성SDI의 매출액이 LG에너지솔루션의 62%, 영업이익은 90% 수준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


그리고 전 세계 배터리 시장 점유율 1위 업체인 중국 CATL과 비교했을 때도 시총이 5분의 1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물론 생산능력 및 수주잔고 면에서는 격차가 크지만 삼성SDI는 배터리 기술과 경쟁력은 업계 선두권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2025년부터 삼성SDI가 미국 자동차 기업 스텔란티스와 손잡고 미국에 첫 전기차 배터리 셀과 모듈을 생산할 계획이 있어 기업가치 격차는 더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를 근거로 키움증권 김지산 연구원은 삼성SDI의 목표가를 95만 원으로 제시하였습니다.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