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내-연금-알아보기-국민연금-홈페이지-스크린샷
내-연금-알아보기

 

국민연금은 국내에 거주하는 50세 미만의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고 예금, 적금과 다르게 최소 가입기간(10년)이 있으며 연령에 따라 수령 나이는 다르지만 장기간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어 많은 분들이 예상수령액 및 납부내역 조회하는 법을 궁금해하실 건데요. 지금부터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확인하는 법

1) 'NPS 국민연금' 홈페이지에 들어갑니다. (www.nps.or.kr)

자주찾는-민원서비스-강조한-사진내-연금-알아보기-스크린샷
'자주찾는-민원서비스'-클릭-후-내-연금-알아보기-클릭

2) 위의 사진처럼 홈페이지 첫 화면에서 '자주 찾는 민원 서비스'를 클릭해서 나오는 '내 연금 알아보기'를 누릅니다.

노후준비-서비스-스크린샷예상연금액-조회-스크린샷
노후준비-서비스-예상연금액-조회

3) 민간 인증서 또는 공인인증서로 인증을 하고 '예상 연금액 조회'를 클릭합니다. 이때 인증을 하지 않고 예상 연금 모의계산 및 간단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4) '예상연금액 조회'를 클릭하면 나오는 팝업창에서 나오는 두 가지 서비스('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알아보기''국민,개인,퇴직,주택연금 모두 알아보기')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저는 국민연금 예상 연금액 알아보기를 선택하였습니다.

국민연금-예상금액-스크린샷
국민연금-예상연금액-조회결과

5) 그동안 제가 납부한 국민연금 내역을 토대로 예상 연금액 결과가 나옵니다. 저는 아직 국민연금 최소 가입기간인 10년이 충족되지 않아 결과가 0으로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저처럼 최소 가입기간이 부족한 경우에는 연금액을 산정할 수 없으니 예상연금액이 0원이 나와도 당황할 필요 없이 꾸준히 납부하시면 됩니다.

 

 

 

 

국민연금 납부내역 조회

국민연금 납부내역 조회는 위에서 예상수령액 확인하는 법과 비슷합니다. 아래 사진처럼 예상연금 조회 아래에 나와있는 가입내역 조회를 클릭하면 됩니다.

가입내역-조회-스크린샷
가입내역-조회

가입내역 조회를 클릭하면 총 납부내역, 연금보험료 상세내역, 기타 상세내역, 예상연금월액(노령연금)이 전부 나옵니다. 저는 실업급여를 받은 적이 있어 그 기간 동안 실업 크레딧으로 국민연금을 납부한 적이 있는데 납부내역에 실업 크레딧까지 포함하여 상세하게 나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및 납부내역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생각보다 간단해서 따라 하기 어렵지 않으실 겁니다. 그럼 이 포스팅이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마치겠습니다.

 

 
 

 

 
반응형